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행성과 항성, 은하와 우주

  우주의 가장 기본 단위는 별이고 그런 별이 모여서 이 우주를 이루고 있다. 태양은 우리 지구가 속한 별이다. 별은 순우리말이고 한자어로는 항성이라고 한다.     항성은 핵융합으로 스스로 빛과 열을 내는 천체다. 고개를 들어 밤하늘을 쳐다보면 반짝반짝 빛나는 것이 우리가 그냥 별이라고 부르는 항성이다. 별도 우리 인간처럼 태어나고 나이를 먹다가 결국은 죽는다. 참고로 태양은 빅뱅 후 3세대 별이다.   대부분 항성은 그 주위에 행성을 거느린다. 여러 행성은 층층이 자리하여 중심에 있는 별을 공전한다. 태양이란 이름의 별 주위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총 8개의 행성이 있다. 그러므로 지구는 태양이란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이다.   지구 주위에는 달이 돌고 있는데 달의 한자어는 위성이다. 달이 지구를 도는 것처럼, 위성은 행성을 공전하고, 지구가 태양을 도는 것처럼 행성은 항성을 공전한다. 그러나 위성 주위를 도는 천체는 없다.   우리가 속한 별인 태양은 항성이라고 했다. 그런 항성이 수천억 개가 모인 것은 은하라고 부른다. 태양이 속한 우리 은하의 이름이 은하수다. 은하수에서 약 250만 광년 거리에 우리 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가 있는데 바로 안드로메다은하다. 은하수와 안드로메다은하는 서로의 중력에 이끌려 점점 가까워지다가 결국, 둘이 합쳐질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앞으로 45억 년 후의 일이니까.   192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은하와 우주를 구별 없이 사용했다. 그때 파이프 담뱃대를 입에 문 허블은 안드로메다 성운을 관찰하고 있었다. 거기서 반짝이는 별을 찾았는데 지구에서부터 거리를 쟀더니 무려 93만 광년이었다. 그때까지 알려진 우리 은하의 지름이 10만 광년 정도 되는데 말이 안 되는 것이었다. 서울에서 인천까지의 거리가 27km인데, 서울과 인천 사이에 있는 부천까지 90km 나왔다면 말이 안 되는 것과 같다. 정말 그 거리가 맞는다면 부천은 서울과 인천 사이에 있는 도시가 아니라 인천을 한참 지나 서해 어딘 가에 있어야 옳다.     그때까지 우리는 은하와 우주를 동일시해왔다. 그런데 허블이 안드로메다 성운이 우리 은하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은하 바깥에 있는 또 다른 독립된 은하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냈다. 외부 은하의 존재가 밝혀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별들의 집단인 은하가 수천억 개가 모여 비로소 우주가 된다는 사실은 실로 엄청난 발견이었다.     순서를 매기자면, 위성-행성-항성-은하-우주의 순이 된다. 달이라고도 불리는 위성은 행성의 주위를 돈다. 그런 행성은 별이라고도 불리는 항성 주위를 공전한다. 항성이 수천억 개 정도 모인 것을 은하라고 한다. 그런 은하가 또 수천억 개가 모여서 비로소 우주를 이룬다. 하지만 여기도 끝은 아닌 것 같다. 많은 사람이 우주도 하나가 아니라고 하기 때문이다. 다중우주론을 주장하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다. 그들 말로는 욕조에 물을 담고 비누를 풀어 저을 때 생기는 무수한 비누 거품처럼, 수많은 우주도 새로 생겼다가 사라져버리는 과정을 되풀이한다고 한다. (작가)   박종진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행성과 항성 행성과 항성 항성 주위 집단인 은하

2022-09-16

[박종진의 과학이야기] 별은 몇 개나 될까?

우리는 밤하늘에 빛나는 별이 과연 몇 개나 될까 하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지구상에 널려 있는 모래 알갱이의 수보다 많다.   별이란 우리의 태양처럼 핵융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말하며, 항성(恒星 star)이라고 한다.     대부분 별은 그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行星 planet)을 갖는다. 우리가 속한 별인 태양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총 8개의 행성을 거느린다. 그리고 개개의 행성은 위성(衛星 satellite)을 갖는다. 지구에는 달이라고 불리는 위성이 딱 하나 있지만, 목성에는 79개의 위성이 있고, 토성의 위성은 82개다.     그러므로 밤하늘에서 빛난다고 모두 별은 아니다. 휘영청 빛나는 달은 지구의 위성이고, 태양 주위를 도는 수성, 금성, 목성, 토성 등은 비록 이름만 봐서는 별인 것 같지만 지구처럼 행성이다. 우리와 가까운 곳에서 별처럼 반짝거리는 것뿐이다. 행성이나 위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지만, 태양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빛이 난다.   빅뱅으로 시작한 우주에는 처음에 에너지만 존재했다. 그러다 에너지는 물질로 변했고, 나중에 수소 원자가 되었다. 우주 한쪽 귀퉁이에서 수소 원자끼리의 중력 균형이 깨지기 시작하자 여기저기서 중력 붕괴로 인하여 별들이 탄생했다. 바야흐로 우주 공간은 크고 작은 별들로 넘쳐났고, 서로의 중력에 끌려 별들은 군데군데 모이기 시작했다. 마치 한 나라에 여기저기 도시가 생기듯, 무수한 별의 집단인 은하가 생겨났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은하에는 2천억에서 4천억 개의 별이 모여 있다고 한다. 그리고 그런 은하가 다시 2천억에서 4천억 개가 모여 우주를 이룬다. 그렇다면 우주에는 별이 몇 개나 있을까? 과학자들은 약 7조 곱하기 백억 개 정도라고 추측한다.   태양은 비교적 작은 별이어서 수명이 길었기 때문에 그 주위를 도는 행성인 지구에서 생명이 시작하여 진화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있었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인 프록시마 센다우리란 별에 최근에 그 별을 공전하는 행성이 발견되었고, 지구와 여러 가지로 비슷해서 어쩌면 생명체가 존재할 지도 모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태양과 가장 가까운 별이어서 혹시 가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40년 전에 지구를 떠나서 지금 태양계를 막 빠져나가고 있는 보이저호의 속력으로 편도 당 7만 년이 걸린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데도 그렇게 먼데 우리 은하에만 그보다 더 먼 별이 수천억 개나 된다.   많고 많은 은하 중에 태양이 속한 우리 은하가 은하수다. 아직도 많은 사람이 우주와 은하를 혼동하고 있는데, 태양과 같은 별들이 모여서 은하를 이루고, 그런 은하들이 모여서 우주가 된다. 우주에는 수천억 개의 은하가 있고, 개개 은하 속에는 또 수천억 개의 별이 있다. 그리고 별 주위를 지구 같은 행성이 공전한다.   은하의 중심부는 많은 별들이 너무 가깝게 모여서 상호작용이 심하므로 생명의 탄생과 진화에 안정적이지 못하지만, 다행히 태양은 우리 은하의 변두리에 자리 잡고 있어서 가능했다.     우주에 퍼져있던 죽은 별들의 잔해가 뭉쳐져서 태양 주위를 맴돌며 태양계를 이뤘고, 그 중 한 행성 위에 우리가 살고 있다. (작가)     Nathan Park 기자박종진의 과학이야기 태양 주위 집단인 은하 우리 은하

2022-03-1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